The 《Borderless》 series is a visual progression of this philosophy, constructing painterly scenes that invite viewers to slowly contemplate and gaze through repetition and void, symmetry and balance, and restrained color palettes. This can be viewed through the lens of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such as the 'beauty of negative space' and the spirit of 'simplicity without crudeness, elegance without extravagance (儉而不陋 華而不侈),' the sentiment of 'Han' (a complex emotion of deep sorrow and resentment), the Confucian sense of moderation and restraint, and the concept of 'emptiness' (無爲) from Eastern thought. While it might appear to adopt a structural approach similar to Western Minimalism, the artist believes its essence differs from Minimalism. He positions his aesthetic within a structure that encompasses both function and emotion, practicality and poetic tension, thus expanding it into a contemplative practice that transcends the dichotom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The temporal context behind the creation of the artist's work can be seen as a philosophical resistance to a digital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sensory overload and an obsession with speed. Rather than directly reacting to the prevailing trend of 'fastness' and 'immediacy' — which is highly favored and utilized in nearly all markets, including the contemporary art market — he deliberately chooses a strategy that proposes a sense of lingering and an inner rhythm through slow contemplation, repetitive structures, and restrained images. This presents a stark contrast to the prevailing ideologies of our time. This attitude resonates with Byung-Chul Han's 'philosophy of lingering,' Jonathan Crary's concept of visual information overload, Gaston Bachelard's concept of emotional space in 'The Poetics of Space (La Poétique de l'Espace),' and Arlene Raven's 'Slow Art: The Experience of Looking, Sacred Images to James Turrell,' revealing it to be an ontological practice.
This philosophy later expands into the 《The Magazine》 series, where the artist navigates th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painting, design and media. Through the typological recombination of sensory fragments from reality and their interpretation into a painterly language, he reveals his identity,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sensibilities. Figure photography functions not merely as representation, but as a mediating device that observes the aura of a place and transfers it into painting. This operates as a mechanism for realizing the continuity and repetitive rearrangement of sensory structures, rather than simply a style.
Haleen Lee, also known as the owner of H-L Studio was born in 1997 in Seoul, South Korea based in Seoul and Berlin. He strives to blur the lines between Fine Art, including both Painting and Photography and Graphic Design; This website aims to dissolve the traditional boundaries that separate them by creatively intertwining these distinct disciplines. Through this, he endeavors to create a unique visual language that not only bridges the gap between these fields but also re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expression and design.
이하린은 건축적 구조, 심리적 공간, 미디어 환경, 그리고 동서양의 미학을 종합해, 회화와 사진, 출판의 경계에서 사유의 공간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창문’, ‘통로’, ‘계단’과 같은 구조물을 반복적으로 등장시키며, 이들을 단순한 장식이나 형태로서가 역할하는 것이 아닌 내면과 감정이 교차되는 감각적 틈새로 해석된다. 작가가 제안하는 공간은 실재의 재현이 아닌, 응시와 멈춤, 관계의 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정적(靜寂)의 상태를 감각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장소로 간주한다.
《Borderless》 시리즈는 이러한 철학의 시각적 전개로서, 반복과 여백, 대칭과 균형, 절제된 색채를 통해 관객이 느리게 사유하고 응시하게 만드는 회화적 장면들을 구성한다. 이는 한국 전통 미학의 ‘여백의 미’와 ‘검이불루 화이불치’ 정신, 한(恨)의 정서, 유교적 중용과 절제의 감각 그리고 동양 사상의 비움(無爲)에서 비롯된 시선으로 볼 수 있다 - 어찌보면 서양의 미니멀리즘과 유사한 구조적 접근을 취하지만 - 작가는 해당 미학을 기능과 감성, 실용성과 시적 긴장을 함께 담는 구조 속에 자리하며, 동서양 미학의 이분법을 넘어서려는 사유적 실천으로 확장됨에 따라 그 본질은 미니멀리즘과 다르다고 본다.
작가의 작업이 만들어진 시대적 원인은 감각 과잉과 속도 중심의 디지털 환경에 대한 철학적 저항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는 동시대 미술시장을 비롯해 거의 모든 시장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자 사용되는 ‘빠름’과 ‘즉시성’의 흐름에 정면으로 반응하는 전략을 선택하기 보다 느린 응시, 반복의 구조, 절제된 이미지를 통해 머무름의 감각과 내면의 리듬을 제안해 현시대에 추구되는 사상하고는 상당히 대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병철이 말한 ‘머무름의 철학’, 조나단 크래리(Jonathan Crary)의 시각 정보 과잉,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감정적 공간 개념(The Poetics of Space(La Poétique de l'Espace)), 그리고 아르덴 리드의 ‘슬로우 아트(Slow Art: The Experience of Looking, Sacred Images to James Turrell)’ 등과 공명하는 태도이자, 존재론적 실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철학은 《The Magazine》 시리즈로 후에 확장되어, 패션과 회화, 디자인과 미디어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현실의 감각적 조각들을 유형학적으로 재조합하고, 이를 회화적 언어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의 정체성, 시선, 시대 감각을 드러낸다. 인물 사진은 단지 재현보다, 장소의 아우라를 관찰하고 회화로 전이시키는 매개 장치로 기능하며, 이는 단순한 스타일이 아닌 감각 구조의 연속성과 반복적 재배열을 실현하는 장치로 작동한다.
작가 이하린은 회화, 사진, 출판, 설치의 장르적 구분을 해체하며, 도착보다 ‘향함’을, 완결보다 ‘지속적인 탐색’을 미학으로 삼는 게 가장 큰 작가의 지향점이다. 그의 작업은 경계를 넘어서기 위한 실험이자, 감각의 과잉 속에서 ‘머물 수 있는 틈’을 만드는 정적인 저항이며, 관객이 사유와 기억을 투사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기도 한다.
이하린(Haleen Lee)은 H-L Studio의 대표이자 1997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겸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그는 회화와 사진을 포함한 순수미술과 그래픽 디자인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자 해, 해당 웹사이트는 서로 다른 이 두 분야를 창의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통적인 구분을 해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그는 단순히 장르 간의 간극을 메우는 것을 넘어, 예술적 표현과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는 독창적인 시각 언어를 구축하고자 한다.
Full Statement (EN) DOWNLOAD /
Education
2018 - 2023 Diplom Painting in Kunsthochschule Berlin Weißensee with Prof. Nader Ahriman
Job Experience
2024 Graphic and Marketing Designer at BESFXXK Fashion, Seoul South Korea
2024 Branding Designer (Photography & Graphic Design), AYA COFFEE, Seoul South Korea
Scholarship & Award
2023 Scholarship and academic advising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nd doctoral candidates (STIBET), German Academic Exchange Service (DAAD) with financing from the German Federal Foreign Office (AA), the Weißensee Academy of Art Berlin
Solo Exhibition
2024 "Emptiness and Fulfillment: The Aesthetics of Overlapping Spaces", Project Space Queue, Seoul
2022 "All in Surroundings" - Art Sohyang, Seoul
Group Exhibition & Project
2025 Happy Birth Day - Gblue Gallery, Seoul
2023 "TUMULT" Abschlussausstellung
Alte Münze, Berlin
2023 Summer Interlude - KUNZTEN Show # 2,
Flutgraben e.v., Berlin
2022 ALIE(N)ATION
KUNSTRAUM Potsdamer Straße, Berlin
2022 Winter Print Show
Hang Tough Contemporary, Dublin
2021 Merry Every Day - Shinsegae Gallery, Busan
2021 Schrödinger Katzen - Plattenbau Project, Berlin
2021 Passive Aggressive - Galerie Sandra Bürgel, Berlin
2021 Back and Forth: No Hugs
Volkspark am Weinberg, Berlin
Other Experiences
2024 - 2026 KATUSA (Kore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 19th ESC, Camp Henry Daegu, South Korea